대학원

박사과정

전공

국제관계론 INTERNATIONAL RELATIONS (3(3))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국제관계이론을 고찰한다. 특히 전통적인 국제관계이론으로부터 최근 다양하게 분화되어 가는 여러가지 이론과 방법을 기초적으로 강의하며 나아가서 국제관계의 실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국제정치론 INTERNATIONAL POLITICS (3(3))
국제정치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 이론과 접근방법을 종합적이고도 다원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제정치 연구에 이용된 대부분의 이론과 접근방법 가운데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 규범적인 것과 행태주의적인 것 계량적인 것과 가치 지향적인 것 등을 개관하면서 이것의 장·단점을 비교, 숙지한다. 
북한정치론 POLITICS OF NORTH KOREA (3(3))
    이 과목은 북한정치의 변동을 비교사회주의 체제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즉 지난 50년 동안 북한사회주의체제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다른 사회주의체제의 변화에 비추어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국 공산주의 운동과 김일성 즉 김일성 북한정권의 성립과 사회주의 건설과정,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권력구조, 경제발전의 성과와 한계 대외관계와 통일정책 등의 주제를 다룬다.
외교정책론 FOREIGN POLICY (3(3))
  외교정책의 수립과정 및 집행, 결정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본다. 특히 외교정책의 형태를 특징짓는 다섯가지의 변수, 즉 개인, 역할, 정부, 사회 국제체제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국가의 대외행위를 검토한다. 
전쟁론 WAR STUDIES (3(3))
전쟁의 본질에 대한 고전적 이론과 현대적 이론을 논의한다. 전쟁의 원인과 고대의 평면전쟁에서 현대의 4세대 전쟁에 이르는 각종 전쟁형태에 대한 탐구를 한다. 전쟁의 각 단계 준비단계, 이행단계, 종결단계에서 현상분석과 평화적 예방책, 해결책을 논의한다
개별연구(2) INDEPENDENT STUDY (2) (3(3))
이 강좌는 박사학위과정 학생에 한하여 수강할 수 있으며, 학위논문 작성이나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구체적인 연구와 관련된 주제를 대상으로 이를 심화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하였다. 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은 담당교수와 주기적으로 만나 자신의 연구진행상황을 보고하여야 하며, 학기말에 그 결과물을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개발이론연구 THEORIES ON COMMUNITY DEVELOPMENT (3(3))
지역사회개발학에 관련된 제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즉 지역사회개발학과 개념, 특성, 역사, 대상 및 주요사례도 비교 연구한다.
정책이론세미나 SEMINAR IN PUBLIC POLICY THEORY (3(3))
합리적인 정책결정과 효율적 집행 및 평가를 위한 정책이론을 연구하면서 정책현실인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들의 분석과 이를 근거로 형성된 다양한 정책논쟁들을 검토한다. 특히 정책가치, 정책과 민주주의, 정책과 정치, 정책리더십, 정책정보와 네트워크, 정책균형, 국제화와 정책 등과 같은 주요 이론들에 관한 연구와 논쟁을 심도 있고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정책학 전반에 걸친 이론적이고 사상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초점을 둔다.
행정이론세미나 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3(3))
행정이론의 발전과정과 최근의 동향 및 기초원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행정학의 역사적 발달과 변천을 개관하고 행정학의 주요 분야인 조직, 인사, 재무, 정책 등의 기초가 되는 원리, 이론 및 접근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갈등관리와협상연구 STUDIES ON CONFLICT MANAGEMENT AND NEGOTIATION (3(3))
본 강좌는 개인, 조직, 지역 그리고 국가 간에 발생하는 갈등원인과 이를 해결하고 관리하는 방법과 협상기법을 탐구한다. 또한 국내외 갈등사례와 성공적인 협상사례를 연구한다. 
미래예측과정책결정 FORECASTION AND POLOCYMAKING (3(3))
본질적으로 미래의 행동노선인 정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래예측이다. 무엇을, 어떻게 결정하면서 이에 따른 결과를 사전에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정보와 지식을 가진 정책결정은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미래예측의 방법론(계량적이고 정성적 방법)을 공부하면서 동시에 불확실성과 변동이라는 미래의 속성에 따른 각 방법론의 장단점과 그 결과를 활용할 정책결정자의 판단과 능력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지도자론 LEADERSHIP (3(3))
리더십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진단ㆍ분석하고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리더십의 자질을 습득하며, 지역 주민들의 잠재력과 능력을 개발하여 지역발전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리더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
군사혁신론 STUDIES IN THE MILITARY REVOLUTION (3(3))
군사혁신의 개념을 이해하고 군사혁신과 미래전 체계의 발전추세와 국방요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주요 국가 및 우리나라의 군사혁신 비전을 소개하여 중장기 국방발전 모델을 탐구한다
연구분석론 RESEARCH STATISTICS (3(3))
군사학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석모델을 탐구한다. 모델링과 모집단, 분포와 변이와 같은 통계량의 관찰 또는 정보수집과 이에 대한 해석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국제분쟁연구 STUDY OF INTERNATIONAL CONFLICTS (3(3))
국제간의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의 충돌에 의한 분쟁을 논의한다. 국제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분쟁의 여러가지 원인과 형태를 분석한다.  내전, 지역분쟁, 영토 분쟁, 테러지즘과 같은 분쟁에 대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에방과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국방경제론 STUDIES IN THE DEFENSE ECONOMY (3(3))
국방문제의 경제적 분석을 통하여 제한된 자원을  동원, 통제, 배분, 운용하고, 합리적인 국방관리를 할 수 있는 지식을 함양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안보와 국방의 문제, 국력과 경제력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의 관계, 국방비의 최적 운용, 국방비와 국민경제의 관계, 효율적인 국방예산 운용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
국방기획관리론 STUDY OF DEFENSE PLANNING MANAGEMENT (3(3))
군사전략 목표와 군사전략 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군사력의 기획기법과 이론을 논의하고, 나아가 국방기획관리 제도에 대한 탐구로 기획, 계획, 예산, 집행, 평가에 이르는 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현실정책에 대한 적용을 논의한다.
미래전연구 STUDY OF FUTURE WAR (3(3))
향후 미래전 전장에서 이루어질 로봇 자동전투체계, 무인전투체계, 드론 체계, ICT체계 ,고도정밀 신무기 등과 사이버전, 우주전 등의 양상에 따른 미래전의 전망과 무기체계 및 기반체계 운용 전망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구한다. 
군사리더십연구 STUDIES IN THE MILITARY LEADERSHIP (3(3))
군 조직을 이끌어가는데 있어서 필요한 리더십은 어떠한 것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최근의 각종 현대 리더십 이론에 대한 이해와 이들의 이론을 군 조직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군리더십 형태에 따른 실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와 사례연구를 병행한다.
군사운영분석연구 STUDY OF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3(3))
군사운영분석연구는 계량화된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각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분석 기법이다. 선형계획법, 비선형계획법, 동적관리법, 수송 및 할당 문제, 네트워크모델, 
 재고관리 등의 기초 이론 및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군비통제 STUDY OF ARMS CONTROL (3(3))
평화유지를 위한 군비통제의 역할과 그 이론에 대하여 논의한다. 전후 냉전체제 이후의 군비통제의 역사를 통하여 군비통제의 방법과 한계점을 논의한다. 세계 군비통제의 현황과 문제, 동북아의 군비 통제의 현안과 향후 대안에 대하여도 논의한다.
군사과학기술론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3(3))
현대 국방에 활용되는 핵심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우리나라 및 주요 군사선진국의 과학기술정책과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정책을 검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국제관계론 INTERNATIONAL RELATIONS (3(3))
  국제정치와 외교정책을 포함하는 전반적인 국제관계이론을 고찰한다. 특히 전통적인 국제관계이론으로부터 최근 다양하게 분화되어 가는 여러가지 이론과 방법을 기초적으로 강의하며 나아가서 국제관계의 실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국제정치론 INTERNATIONAL POLITICS (3(3))
국제정치를 이해하고 연구하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과 특징, 이론과 접근방법을 종합적이고도 다원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소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지금까지 국제정치 연구에 이용된 대부분의 이론과 접근방법 가운데 전통적인 것과 현대적인 것, 규범적인 것과 행태주의적인 것 계량적인 것과 가치 지향적인 것 등을 개관하면서 이것의 장·단점을 비교, 숙지한다. 
북한정치론 POLITICS OF NORTH KOREA (3(3))
    이 과목은 북한정치의 변동을 비교사회주의 체제론의 관점에서 살펴본다. 즉 지난 50년 동안 북한사회주의체제가 어떻게 변화해 왔으며, 앞으로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를 다른 사회주의체제의 변화에 비추어 해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한국 공산주의 운동과 김일성 즉 김일성 북한정권의 성립과 사회주의 건설과정,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와 권력구조, 경제발전의 성과와 한계 대외관계와 통일정책 등의 주제를 다룬다.
외교정책론 FOREIGN POLICY (3(3))
  외교정책의 수립과정 및 집행, 결정에 관한 이론들을 살펴본다. 특히 외교정책의 형태를 특징짓는 다섯가지의 변수, 즉 개인, 역할, 정부, 사회 국제체제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국가의 대외행위를 검토한다. 
전쟁론 WAR STUDIES (3(3))
전쟁의 본질에 대한 고전적 이론과 현대적 이론을 논의한다. 전쟁의 원인과 고대의 평면전쟁에서 현대의 4세대 전쟁에 이르는 각종 전쟁형태에 대한 탐구를 한다. 전쟁의 각 단계 준비단계, 이행단계, 종결단계에서 현상분석과 평화적 예방책, 해결책을 논의한다
개별연구(2) INDEPENDENT STUDY (2) (3(3))
이 강좌는 박사학위과정 학생에 한하여 수강할 수 있으며, 학위논문 작성이나 자신이 관심을 가지는 구체적인 연구와 관련된 주제를 대상으로 이를 심화학습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설하였다. 본 강좌를 수강하는 학생은 담당교수와 주기적으로 만나 자신의 연구진행상황을 보고하여야 하며, 학기말에 그 결과물을 보고서 형태로 제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개발이론연구 THEORIES ON COMMUNITY DEVELOPMENT (3(3))
지역사회개발학에 관련된 제 이론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즉 지역사회개발학과 개념, 특성, 역사, 대상 및 주요사례도 비교 연구한다.
정책이론세미나 SEMINAR IN PUBLIC POLICY THEORY (3(3))
합리적인 정책결정과 효율적 집행 및 평가를 위한 정책이론을 연구하면서 정책현실인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요인들의 분석과 이를 근거로 형성된 다양한 정책논쟁들을 검토한다. 특히 정책가치, 정책과 민주주의, 정책과 정치, 정책리더십, 정책정보와 네트워크, 정책균형, 국제화와 정책 등과 같은 주요 이론들에 관한 연구와 논쟁을 심도 있고 구체적으로 검토하여 정책학 전반에 걸친 이론적이고 사상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초점을 둔다.
행정이론세미나 SEMINAR IN PUBLIC ADMINISTRATION THEORY (3(3))
행정이론의 발전과정과 최근의 동향 및 기초원리를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행정학의 역사적 발달과 변천을 개관하고 행정학의 주요 분야인 조직, 인사, 재무, 정책 등의 기초가 되는 원리, 이론 및 접근방법 등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갈등관리와협상연구 STUDIES ON CONFLICT MANAGEMENT AND NEGOTIATION (3(3))
본 강좌는 개인, 조직, 지역 그리고 국가 간에 발생하는 갈등원인과 이를 해결하고 관리하는 방법과 협상기법을 탐구한다. 또한 국내외 갈등사례와 성공적인 협상사례를 연구한다. 
미래예측과정책결정 FORECASTION AND POLOCYMAKING (3(3))
본질적으로 미래의 행동노선인 정책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미래예측이다. 무엇을, 어떻게 결정하면서 이에 따른 결과를 사전에 판단하고 이에 따른 정보와 지식을 가진 정책결정은 성공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미래예측의 방법론(계량적이고 정성적 방법)을 공부하면서 동시에 불확실성과 변동이라는 미래의 속성에 따른 각 방법론의 장단점과 그 결과를 활용할 정책결정자의 판단과 능력 등을 설명하고자 한다. 
지도자론 LEADERSHIP (3(3))
리더십과 관련된 전반적인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기초로 지역사회의 문제를 진단ㆍ분석하고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리더십의 자질을 습득하며, 지역 주민들의 잠재력과 능력을 개발하여 지역발전의 주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여 리더로서의 능력을 배양한다.
군사혁신론 STUDIES IN THE MILITARY REVOLUTION (3(3))
군사혁신의 개념을 이해하고 군사혁신과 미래전 체계의 발전추세와 국방요소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주요 국가 및 우리나라의 군사혁신 비전을 소개하여 중장기 국방발전 모델을 탐구한다
연구분석론 RESEARCH STATISTICS (3(3))
군사학에 관련된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분석모델을 탐구한다. 모델링과 모집단, 분포와 변이와 같은 통계량의 관찰 또는 정보수집과 이에 대한 해석 등에 대하여 학습한다. 
국제분쟁연구 STUDY OF INTERNATIONAL CONFLICTS (3(3))
국제간의 정치, 경제, 문화 군사 등의 충돌에 의한 분쟁을 논의한다. 국제시스템의 변화에 따른 분쟁의 여러가지 원인과 형태를 분석한다.  내전, 지역분쟁, 영토 분쟁, 테러지즘과 같은 분쟁에 대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에방과 해결방안을 논의한다. 
국방경제론 STUDIES IN THE DEFENSE ECONOMY (3(3))
국방문제의 경제적 분석을 통하여 제한된 자원을  동원, 통제, 배분, 운용하고, 합리적인 국방관리를 할 수 있는 지식을 함양한다. 이를 위하여 국가안보와 국방의 문제, 국력과 경제력의 관계, 국방과 경제와의 관계, 국방비의 최적 운용, 국방비와 국민경제의 관계, 효율적인 국방예산 운용 등에 대하여 고찰한다.
국방기획관리론 STUDY OF DEFENSE PLANNING MANAGEMENT (3(3))
군사전략 목표와 군사전략 개념을 구현하기 위한 군사력의 기획기법과 이론을 논의하고, 나아가 국방기획관리 제도에 대한 탐구로 기획, 계획, 예산, 집행, 평가에 이르는 제 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현실정책에 대한 적용을 논의한다.
미래전연구 STUDY OF FUTURE WAR (3(3))
향후 미래전 전장에서 이루어질 로봇 자동전투체계, 무인전투체계, 드론 체계, ICT체계 ,고도정밀 신무기 등과 사이버전, 우주전 등의 양상에 따른 미래전의 전망과 무기체계 및 기반체계 운용 전망에 대하여 이론적으로 탐구한다. 
군사리더십연구 STUDIES IN THE MILITARY LEADERSHIP (3(3))
군 조직을 이끌어가는데 있어서 필요한 리더십은 어떠한 것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최근의 각종 현대 리더십 이론에 대한 이해와 이들의 이론을 군 조직에 적용하는 방안을 논의한다. 군리더십 형태에 따른 실제적 효과에 대한 논의와 사례연구를 병행한다.
군사운영분석연구 STUDY OF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3(3))
군사운영분석연구는 계량화된 최적화 기법을 활용하여 각종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분석 기법이다. 선형계획법, 비선형계획법, 동적관리법, 수송 및 할당 문제, 네트워크모델, 
 재고관리 등의 기초 이론 및 적용방법을 연구한다.
군비통제 STUDY OF ARMS CONTROL (3(3))
평화유지를 위한 군비통제의 역할과 그 이론에 대하여 논의한다. 전후 냉전체제 이후의 군비통제의 역사를 통하여 군비통제의 방법과 한계점을 논의한다. 세계 군비통제의 현황과 문제, 동북아의 군비 통제의 현안과 향후 대안에 대하여도 논의한다.
군사과학기술론 DEFENSE SCIENCE AND TECHNOLOGY (3(3))
현대 국방에 활용되는 핵심과학기술을 이해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우리나라 및 주요 군사선진국의 과학기술정책과 우리나라의 국방과학기술정책을 검토하고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기초공통

연구방법론 BASIC RESEARCH METHODS (3(3))
군사현상에 대한 상관관계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활동과 관련한 규칙과 절차를 이해하고 적용방법을 논의한다. 일반적인 사회과학 연구방법인 실증적 연구방법, 질적 연구방법 등을 군사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다. 가설구성으로부터 연구 설계, 실행 단계에서의 방법도 탐구한다.
군사전략연구 STUDY OF MILITARY STRATEGY (3(3))
군사전략의 개념과 그 범위를 논하고, 현대의 주요 군사전략론에 대하여 핵심적 이론에 대하여 이해한다. 군사전략의 수립과 수행을 위한 기본 요건과 절차, 방법 등에 대하여 현실적 상황과 결부하여 논의한다. 
국방정책연구 DEFENSE POLICY RESEARCH (3(3))
국방정책에 대한 정책의제 설정, 국방 정책결정을 위한 정책분석, 국방정책 결정의  제이론 등 정책원론적인 제 문제를 논의한다. 서방 강대국과 동북아 국가의 국방정책의 실제를 비교하고 한국의 국방정책을 논의한다.
국가안보연구 STUDIES OF NATIONAL SECURITY (3(3))
국가이익과 국가안보, 국가안보와 군사력의 상호관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하여 국가안보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안보이론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에서 군사적 비군사적 위협과 다양한 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현실적 안보노력의  필요성을 검토한다.
연구방법론 BASIC RESEARCH METHODS (3(3))
군사현상에 대한 상관관계나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연구활동과 관련한 규칙과 절차를 이해하고 적용방법을 논의한다. 일반적인 사회과학 연구방법인 실증적 연구방법, 질적 연구방법 등을 군사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다. 가설구성으로부터 연구 설계, 실행 단계에서의 방법도 탐구한다.
군사전략연구 STUDY OF MILITARY STRATEGY (3(3))
군사전략의 개념과 그 범위를 논하고, 현대의 주요 군사전략론에 대하여 핵심적 이론에 대하여 이해한다. 군사전략의 수립과 수행을 위한 기본 요건과 절차, 방법 등에 대하여 현실적 상황과 결부하여 논의한다. 
국방정책연구 DEFENSE POLICY RESEARCH (3(3))
국방정책에 대한 정책의제 설정, 국방 정책결정을 위한 정책분석, 국방정책 결정의  제이론 등 정책원론적인 제 문제를 논의한다. 서방 강대국과 동북아 국가의 국방정책의 실제를 비교하고 한국의 국방정책을 논의한다.
국가안보연구 STUDIES OF NATIONAL SECURITY (3(3))
국가이익과 국가안보, 국가안보와 군사력의 상호관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통하여 국가안보환경 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안보이론을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에서 군사적 비군사적 위협과 다양한 갈등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현실적 안보노력의  필요성을 검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