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5년 2월 26일 (수)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34
-
지난해 신입생 65명 전원에게 총 5억 640만 원 규모의 장학금을 지급하며 교육 기회를 확대했다. 이 중 2억 5천만 원은 경상북도와 경산시가 추진하는 ‘지역산업 연계형 대학 특성화학과 혁신지원’ 사업비로 충당됐으며, 교내·외 장학금 및 국가장학금을 적극 활용해 학생들의 교육 환경을 혁신했다. 또한, 경상북도 및 경산시의 지원을 바탕으로 최신 실습 기자재와 재료를 확보하고, IC-PBL(산업체 연계 문제 해결형 학습) 교과 과정에 실습 재료비를 지원하는 등 실무 중심 교육을 강화했다. 아울러 ㈜두산로보틱스, ㈜일지테크 등 지역 산업체 전문가를 초청해 총 6건의 특강을 진행(목표 대비 200%)하고, 서강대학교·삼성전자 등 산학연 전문가 세미나 5건을 운영(목표 대비 250%)하며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현장 경험을 제공했다. 산업체 연계 교육도 활발히 추진됐다. ㈜유엔디 및 로봇직업혁신센터와 협력해 초·중급 산업현장 기술교육을 운영하고, ChatGPT 코딩 시스템 개발 및 자율주행 스터디 등 5개 동아리 프로그램을 지원하며 학생들의 창의성과 실무 역량을 높였다. 더불어 미래모빌리티엑스포, 대구국제기계대전 등 국내 주요 전시회 5곳에 참관해 산업에 대한 이해도를 한층 높였다. 산학 협력 체계도 강화됐다. 산학협력위원회와 교육혁신위원회를 통합해 ‘사업운영위원회’를 신설하고, 경주 계림고·영천여고 등 4개 고교에서 전공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지역 인재 확보에 나섰다. 또한, ㈜티포엘·㈜HD로보틱스·㈜아이로바 등 지역 유망 기업 방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취업 기회를 넓히고 지역 정주율 제고에도 기여했다. 영남대학교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은 2024년 한 해 동안 정량·정성 지표에서 목표치를 초과 달성하며, 지역 로봇 산업을 선도하는 성과를 거뒀다. 향후에도 지속적인 교육 혁신과 산학 협력을 통해 지역사회 발전과 미래 로봇 산업의 핵심 인재 양성에 힘쓸 계획이다. URL:https://www.eanews.kr/news/824377
- 2025년 2월 25일 (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183
-
- 2025년 2월 17일 (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40
-
- 2025년 2월 10일 (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01
-
- 2025년 1월 23일 (목)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32
-
- 2025년 1월 17일 (금)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44
-
- 2024년 12월 31일 (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59
-
로봇공학과 박영호, 임효진(4학년), 우용택(석사과정) 학생 공동 저술 연쇄추돌 및 급정거 방지를 위한 Li-Fi 기반 체인 방식 제안 한국통신학과 추계종합학술발표회에서 117편 중 1위로 선정 [2024-12-6] 영남대학교(총장 최외출) 로봇공학과 학생들이 한국통신학회에서 수여하는 최우수 논문상을 수상했다. 지난 11월 20일부터 22일까지 라한셀렉트경주에서 열린 한국통신학회 추계종합학술발표회에서 로봇공학과 박영호, 임효진(4학년) 학생, 우용택(석사과정) 학생이 ‘터널 내 자동차 램프를 활용 및 확장 가능한 Li-Fi 기반 체인 방식: 속도 및 가속도 데이터 전송을 통한 연쇄추돌 및 급정거 방지’를 주제로 공동 저술한 논문이 학부 논문 117편 중 최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었다. 이 연구는 터널 내 자동차 램프와 Li-Fi 기술을 활용해 연쇄추돌과 급정거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는 내용으로 특히,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안하며 주목을 받았다. 박영호, 임효진 학생은 학부생임에도 불구하고 “무선 광통신” 연구에 집중해 오며, 뛰어난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특히, 국제 저명학술지인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Letters (Q1, IF 4.6)" 및 "ICT Express (Q1, IF 4.1)"에 주저자로 각각 기여하여 논문을 게재한 바 있다. 학생들을 지도한 송유재 로봇공학과 교수는 “우리 학생들이 보여준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연구 결과가 이번 학술발표회에서 인정받은 것에 대해 매우 기쁘게 생각한다”면서 “앞으로도 학생들과 함께 지속적으로 혁신적이고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 2024년 12월 2일 (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436
-
- 2024년 11월 25일 (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48
-
- 2024년 11월 19일 (화)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310
-
- 2024년 11월 15일 (금)
- 로봇특성화학과혁신지원사업단
-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