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원

교과목개요

전공

개별연구(1) INDEPENDENT STUDY (1) (3(3))
학생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와 졸업논문을 위한 작업등에 대한 교수와의 1:1논의 및 연구를 통해 자신의 연구성과를 구체화한다.  
미디어아트연구 STUDIES IN MEDIA ART (3(3))
미디어아트 작품들을 분석하고 토론을 통해 미디어아트의 역사와 기술적 변천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그 과정을 토대로 개개인의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미디어아트 작품연구를 한다.
재료연구 STUDIES ON MATERIALS (3(3))
미술표현에 사용되어져 온 재료들에 대한 종류와 특성을 연구한다. 현대 미술에 사용되어져 온 새로운 재료와 특성들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조형전개의 다양성을 추구한다. 미술 작품에 사용된 재료에 따른 미술 작품의 개념과 성격 특성의 변화 등을 연구한다.
사진영상연구(1) STILL AND MOVING IMAGE STUDY(1) (3(3))
이 수업은 사진영상이론연구, 전시 및 특강탐방, 그리고 작업발표토론을 통하여 현대미술 문화 속에서 자신의 작업개념을 재확인하고 발전시킨다.
트랜스아트연구(1) TRANS ART STUDY(1) (3(3))
트랜스아트는 동시대 미술에 있어 매체간의 경계를 허물고 실험하며, 새롭게 정의되어야할 예술의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이 수업은 프로젝트 토론과 실습을 통해 창의적이며 실험적인 작업에 중점을 둔다.
복합매체연구 MIXED MEDIA STUDY (3(3))
복합매체연구를 통해 다양한 매체 실습 능력을 키우고 토론을 통해 복합매체에 대한 이해와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개별 작품연구를 통해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발상의 표현과 실천을 하도록 유도한다. 
매체조형론 MEDIA MODELING THEORY (3(3))
조형예술에서 형태에 관한 조형원리와 형태구성의 방법을 연구한다. 표현형식에서 나타나는 심미적, 사리적 문제를 분석한다.
3D연구(1) 3D STUDY(1) (3(3))
컴퓨터 베이스 3D에 대한 이해와 3D프린터 및 2D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하여 결과물을 만드는 작업까지 진행하면서, 전반적인 3D 스캔, 모델링에서 부터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문적인 작업까지 다방면으로 경험하게 한다. 
공공미술연구 PUBLIC ART STUDY (3(3))
현대 시민 사회에 있어 미술의 공공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강좌는 현대 공공미술의 현장에서 활동 중인 예술가들의 선행 사례연구와 진행 중인 공공미술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들과 공동협력 세미나를 통한 공공미술 이슈에 관한 문제들을 연구한다.
매체기법연구 MEDIA TECHNIQUE DEVELOPMENT (3(3))
작품을 제작할 때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여러 가지 기법들을 이해하고 개발함으로써 창의적 조형사고와 표현능력을 함양한다. 각 시대별 조각기법의 변화에 따른 조각양식과 형식의 변화, 표현내용과 이미지의 변화를 연구함과 동시에 조형세계의 다양한 표현방법을 익힌다.
트랜스아트론 TRANS ART THEORY (3(3))
초월을 의미하는 트랜스trans와 예술art이란 단어가 결합된 트랜스아트trans-art의 의미와 성립과정을 이해한다. 다양한 매체와 미디어들이 서로 다른 장르와 영역을 넘나들고 교차하는 미술의 전반적인 현상을 살펴보고 그 사례가 되는 주요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한다.
트랜스아트연구(2) TRANS ART THEORY(2) (3(3))
트랜스아트연구(2)는 가능한 한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수업진행방식은 개인작업 발표와 토론, 새로운 실험적인 작업방식연구 등을 통하여 자신의 미적 개념의 한계를 확장한다.
사진영상연구(2) STILL AND MOVING IMAGE STUDY(2) (3(3))
사진영상미디어의 이해와 실습을 통해 사진영상 기획 및 연출, 하이엔드 사진영상제작 및 개발 등 창조적 표현 연구에 중점을 둔다. 또한 사진영상미학적 접근과 담론을 통해 전문적인 작품제작을 위한 총체적 연구과정이다. 
3D연구(2) 3D STUDY(2) (3(3))
3D모델링과 3D프린터를 응용한 작품연구와 관련된 표현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작품으로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들 및 관련 오픈소스를 응용한 다양한 적용사례 등을 연구, 적용한 개인 작업을 만드는 과정이다.
트랜스아트학과세미나 SEMINAR IN TRANS ART COURSE (1(1))
조소과의 주요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그 연구과제에 대한 자료를 조사한 후 보고서를 작성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토론함.
개별연구(1) INDEPENDENT STUDY (1) (3(3))
학생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프로젝트와 졸업논문을 위한 작업등에 대한 교수와의 1:1논의 및 연구를 통해 자신의 연구성과를 구체화한다.  
미디어아트연구 STUDIES IN MEDIA ART (3(3))
미디어아트 작품들을 분석하고 토론을 통해 미디어아트의 역사와 기술적 변천과정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그 과정을 토대로 개개인의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미디어아트 작품연구를 한다.
재료연구 STUDIES ON MATERIALS (3(3))
미술표현에 사용되어져 온 재료들에 대한 종류와 특성을 연구한다. 현대 미술에 사용되어져 온 새로운 재료와 특성들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조형전개의 다양성을 추구한다. 미술 작품에 사용된 재료에 따른 미술 작품의 개념과 성격 특성의 변화 등을 연구한다.
사진영상연구(1) STILL AND MOVING IMAGE STUDY(1) (3(3))
이 수업은 사진영상이론연구, 전시 및 특강탐방, 그리고 작업발표토론을 통하여 현대미술 문화 속에서 자신의 작업개념을 재확인하고 발전시킨다.
트랜스아트연구(1) TRANS ART STUDY(1) (3(3))
트랜스아트는 동시대 미술에 있어 매체간의 경계를 허물고 실험하며, 새롭게 정의되어야할 예술의 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이다.
이 수업은 프로젝트 토론과 실습을 통해 창의적이며 실험적인 작업에 중점을 둔다.
복합매체연구 MIXED MEDIA STUDY (3(3))
복합매체연구를 통해 다양한 매체 실습 능력을 키우고 토론을 통해 복합매체에 대한 이해와 그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개별 작품연구를 통해 실험적이고 창조적인 발상의 표현과 실천을 하도록 유도한다. 
매체조형론 MEDIA MODELING THEORY (3(3))
조형예술에서 형태에 관한 조형원리와 형태구성의 방법을 연구한다. 표현형식에서 나타나는 심미적, 사리적 문제를 분석한다.
3D연구(1) 3D STUDY(1) (3(3))
컴퓨터 베이스 3D에 대한 이해와 3D프린터 및 2D 레이저 커팅기를 이용하여 결과물을 만드는 작업까지 진행하면서, 전반적인 3D 스캔, 모델링에서 부터 오픈 소스 프로그램을 이용한 전문적인 작업까지 다방면으로 경험하게 한다. 
공공미술연구 PUBLIC ART STUDY (3(3))
현대 시민 사회에 있어 미술의 공공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강좌는 현대 공공미술의 현장에서 활동 중인 예술가들의 선행 사례연구와 진행 중인 공공미술 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예술가들과 공동협력 세미나를 통한 공공미술 이슈에 관한 문제들을 연구한다.
매체기법연구 MEDIA TECHNIQUE DEVELOPMENT (3(3))
작품을 제작할 때 사용되어지는 다양한 여러 가지 기법들을 이해하고 개발함으로써 창의적 조형사고와 표현능력을 함양한다. 각 시대별 조각기법의 변화에 따른 조각양식과 형식의 변화, 표현내용과 이미지의 변화를 연구함과 동시에 조형세계의 다양한 표현방법을 익힌다.
트랜스아트론 TRANS ART THEORY (3(3))
초월을 의미하는 트랜스trans와 예술art이란 단어가 결합된 트랜스아트trans-art의 의미와 성립과정을 이해한다. 다양한 매체와 미디어들이 서로 다른 장르와 영역을 넘나들고 교차하는 미술의 전반적인 현상을 살펴보고 그 사례가 되는 주요작가들의 작품을 분석한다.
트랜스아트연구(2) TRANS ART THEORY(2) (3(3))
트랜스아트연구(2)는 가능한 한 실생활에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에 초점을 맞춘다. 수업진행방식은 개인작업 발표와 토론, 새로운 실험적인 작업방식연구 등을 통하여 자신의 미적 개념의 한계를 확장한다.
사진영상연구(2) STILL AND MOVING IMAGE STUDY(2) (3(3))
사진영상미디어의 이해와 실습을 통해 사진영상 기획 및 연출, 하이엔드 사진영상제작 및 개발 등 창조적 표현 연구에 중점을 둔다. 또한 사진영상미학적 접근과 담론을 통해 전문적인 작품제작을 위한 총체적 연구과정이다. 
3D연구(2) 3D STUDY(2) (3(3))
3D모델링과 3D프린터를 응용한 작품연구와 관련된 표현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또한 작품으로 이용 가능한 프로그램들 및 관련 오픈소스를 응용한 다양한 적용사례 등을 연구, 적용한 개인 작업을 만드는 과정이다.
트랜스아트학과세미나 SEMINAR IN TRANS ART COURSE (1(1))
조소과의 주요 연구 과제를 제시하고, 그 연구과제에 대한 자료를 조사한 후 보고서를 작성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토론함.

기초공통

현대미술특강 TOPICS IN CONTEMPORARY ART (3(3))
20세기 미술의 역사와 그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이 시대에 일어난 다양한 미술운동의 맥락을 이해한다. 대표적인 미술운동과 작가들을 분석함으로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동시대 미술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미술현장특강 SPECIAL TOPIC OF ART SCENE (3(3))
작업을 발전시키는 방법 중 매우 중요한 것은 다른 작가들의 작업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그 방법의 일환으로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술관련 행사들을 선정하여 연구조사가 이루어지며, 행사를 직접 탐방하여 작가들 및 전시운영관계자들을 만나서 서로 토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대미술현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작가로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게 한다.
트랜스아트특강 SPECIAL TOPIC OF TRANS ART (3(3))
트랜스아트전공의 개념정의를 통해 이 전공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습하는 과정이다. 현대미술의 성향에서 뚜렷하게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흐름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과정이다.
현대미술특강 TOPICS IN CONTEMPORARY ART (3(3))
20세기 미술의 역사와 그 변천과정을 알아보고 이 시대에 일어난 다양한 미술운동의 맥락을 이해한다. 대표적인 미술운동과 작가들을 분석함으로서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고 동시대 미술의 의미를 파악하도록 한다.
미술현장특강 SPECIAL TOPIC OF ART SCENE (3(3))
작업을 발전시키는 방법 중 매우 중요한 것은 다른 작가들의 작업을 깊이 이해하는 것이다. 그 방법의 일환으로 주변에서 진행되고 있는 미술관련 행사들을 선정하여 연구조사가 이루어지며, 행사를 직접 탐방하여 작가들 및 전시운영관계자들을 만나서 서로 토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현대미술현장의 동향을 파악하고 작가로서 자신의 위치를 인식하게 한다.
트랜스아트특강 SPECIAL TOPIC OF TRANS ART (3(3))
트랜스아트전공의 개념정의를 통해 이 전공의 특성을 이해하고 실습하는 과정이다. 현대미술의 성향에서 뚜렷하게 대두되고 있는 새로운 흐름을 파악하고 연구하는 과정이다.

논문대체

논문대체 NON-THESIS PROJECT (3(3))
석사학위청구논문의 제출에 갈음하여 논문에 상응하는 학습경험 및 결과 등을 포함하는 논문대체과제를 수행하는 과목으로, 논문대체 학위 제도를 시행하는 학과에서 부여하는 논문대체 과제를 수행하고 학위논문대체요건 심사에 통과하여야 한다.  
논문대체 NON-THESIS PROJECT (3(3))
석사학위청구논문의 제출에 갈음하여 논문에 상응하는 학습경험 및 결과 등을 포함하는 논문대체과제를 수행하는 과목으로, 논문대체 학위 제도를 시행하는 학과에서 부여하는 논문대체 과제를 수행하고 학위논문대체요건 심사에 통과하여야 한다.  

전공

개별연구(1) INDEPENDENT STUDY (1) (3(3))
This class will shape their research results thtough 1:1 discussions and research with the professor on individual projects and work for graduation thesis.
미디어아트연구 STUDIES IN MEDIA ART (3(3))
This course helps students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technical transition of media art through analysis of and discussions on media artworks. Each student can study their own experimental, creative works of media art based on this process.
재료연구 STUDIES ON MATERIALS (3(3))
Students are able to study the traits of materials used for artistic expression. They can seek diversity in their modeling through studies on new materials and their properties. They are also able to study change in the concept of artworks and their traits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s used through this course.
사진영상연구(1) STILL AND MOVING IMAGE STUDY(1) (3(3))
Students are able to reconfirm and improve the concept of their work in contemporary art culture through photography and video study, exhibitions, special lecture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트랜스아트연구(1) TRANS ART STUDY(1) (3(3))
Trans Art is a course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he media, experiment with new media, and explore new directions in art. This course focuses on creative, experimental work through discussions and practical training.
복합매체연구 MIXED MEDIA STUDY (3(3))
Students are able to foster their ability to practically use diverse media through studies on mixed media and explore how to understand and practice mixed media through discussions. This course leads students to expression and the practice of experimental, creative conceptions through studies on each work.
매체조형론 MEDIA MODELING THEORY (3(3))
Students are able to study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modeling in the formative arts, analyzing aesthetic, theatrical issues in expressive form.
3D연구(1) 3D STUDY(1) (3(3))
Students are able to learn how to properly use 3D printers and 2D laser cutters,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3D work aided by a computer. They can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3D scanning and modeling with open source programs.
공공미술연구 PUBLIC ART STUDY (3(3))
Publicness in art is necessary in contemporary civic society.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study cases of artists active in the fields of public art and issues pertaining to public art through seminars with artists working in the arena of public art.
매체기법연구 MEDIA TECHNIQUE DEVELOPMENT (3(3))
This course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creative ideas and abilities for expression through a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diverse techniques to be used in their creative process. It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study change in sculptural styles and forms, content and images by age, and multifarious methods of expression.
트랜스아트론 TRANS ART THEORY (3(3))
Students are able to grasp the meaning and process of trans art, a compound of trans referring to transcendence and art. This course provides them with opportunities to examine how diverse forms of media overlap one another in contemporary art and analyze works of seminal artists.
트랜스아트연구(2) TRANS ART THEORY(2) (3(3))
This course focuses primarily on naturally occurring phenomena in everyday life. Students are able to expand their own aesthetic concepts through presentations of their individual work, discussion, and study on experimental work methods.
사진영상연구(2) STILL AND MOVING IMAGE STUDY(2) (3(3))
This course puts emphasis on the planning and direction of photography and video, the production of high-end photographs and videos, and the study of creative expression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 of photography and video. This course is a comprehensive study for the production of expert artworks through an aesthetic approach and discourse.
3D연구(2) 3D STUDY(2) (3(3))
Students are able to study works produced using 3D modeling and 3D printing and the methods of expression related to this. They can produce individual works through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available programs and open sources. 
트랜스아트학과세미나 SEMINAR IN TRANS ART COURSE (1(1))
Sculpture of the major challenges for research and That after examining the data for research reports, presentations and discuss this basis.
개별연구(1) INDEPENDENT STUDY (1) (3(3))
This class will shape their research results thtough 1:1 discussions and research with the professor on individual projects and work for graduation thesis.
미디어아트연구 STUDIES IN MEDIA ART (3(3))
This course helps students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and technical transition of media art through analysis of and discussions on media artworks. Each student can study their own experimental, creative works of media art based on this process.
재료연구 STUDIES ON MATERIALS (3(3))
Students are able to study the traits of materials used for artistic expression. They can seek diversity in their modeling through studies on new materials and their properties. They are also able to study change in the concept of artworks and their traits in accordance with the materials used through this course.
사진영상연구(1) STILL AND MOVING IMAGE STUDY(1) (3(3))
Students are able to reconfirm and improve the concept of their work in contemporary art culture through photography and video study, exhibitions, special lectures, presentations, and discussions.
트랜스아트연구(1) TRANS ART STUDY(1) (3(3))
Trans Art is a course to break down the boundaries between the media, experiment with new media, and explore new directions in art. This course focuses on creative, experimental work through discussions and practical training.
복합매체연구 MIXED MEDIA STUDY (3(3))
Students are able to foster their ability to practically use diverse media through studies on mixed media and explore how to understand and practice mixed media through discussions. This course leads students to expression and the practice of experimental, creative conceptions through studies on each work.
매체조형론 MEDIA MODELING THEORY (3(3))
Students are able to study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modeling in the formative arts, analyzing aesthetic, theatrical issues in expressive form.
3D연구(1) 3D STUDY(1) (3(3))
Students are able to learn how to properly use 3D printers and 2D laser cutters, improving their understanding of 3D work aided by a computer. They can have extensive experience in 3D scanning and modeling with open source programs.
공공미술연구 PUBLIC ART STUDY (3(3))
Publicness in art is necessary in contemporary civic society.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are able to study cases of artists active in the fields of public art and issues pertaining to public art through seminars with artists working in the arena of public art.
매체기법연구 MEDIA TECHNIQUE DEVELOPMENT (3(3))
This course helps students improve their creative ideas and abilities for expression through an understanding and development of diverse techniques to be used in their creative process. It provides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study change in sculptural styles and forms, content and images by age, and multifarious methods of expression.
트랜스아트론 TRANS ART THEORY (3(3))
Students are able to grasp the meaning and process of trans art, a compound of trans referring to transcendence and art. This course provides them with opportunities to examine how diverse forms of media overlap one another in contemporary art and analyze works of seminal artists.
트랜스아트연구(2) TRANS ART THEORY(2) (3(3))
This course focuses primarily on naturally occurring phenomena in everyday life. Students are able to expand their own aesthetic concepts through presentations of their individual work, discussion, and study on experimental work methods.
사진영상연구(2) STILL AND MOVING IMAGE STUDY(2) (3(3))
This course puts emphasis on the planning and direction of photography and video, the production of high-end photographs and videos, and the study of creative expression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media of photography and video. This course is a comprehensive study for the production of expert artworks through an aesthetic approach and discourse.
3D연구(2) 3D STUDY(2) (3(3))
Students are able to study works produced using 3D modeling and 3D printing and the methods of expression related to this. They can produce individual works through the study and application of available programs and open sources. 
트랜스아트학과세미나 SEMINAR IN TRANS ART COURSE (1(1))
Sculpture of the major challenges for research and That after examining the data for research reports, presentations and discuss this basis.

기초공통

현대미술특강 TOPICS IN CONTEMPORARY ART (3(3))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overview of the history and transitional process of 20th century art and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the art movements in this age, enabling them to grasp the meaning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a theoretical foundation built up by analyzing representative art movements and artists.
미술현장특강 SPECIAL TOPIC OF ART SCENE (3(3))
Most important in improving one’s work is to deeply understand other artists’ work. Art-related events taking place in the surrounding area are selected and research and surveys of those events are conducted as a way to experience other artists’ work. Students may visit such events in person and have discussions with artists or those concerned with the events, thereby grasping tendencies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to better understand their positions as would-be artists.
트랜스아트특강 SPECIAL TOPIC OF TRANS ART (3(3))
With the definition of trans art, this is a course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ajor involving practical training. This is a course to grasp and study a new trend in contemporary art.
현대미술특강 TOPICS IN CONTEMPORARY ART (3(3))
This course provides students with an overview of the history and transitional process of 20th century art and an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of the art movements in this age, enabling them to grasp the meaning of contemporary art based on a theoretical foundation built up by analyzing representative art movements and artists.
미술현장특강 SPECIAL TOPIC OF ART SCENE (3(3))
Most important in improving one’s work is to deeply understand other artists’ work. Art-related events taking place in the surrounding area are selected and research and surveys of those events are conducted as a way to experience other artists’ work. Students may visit such events in person and have discussions with artists or those concerned with the events, thereby grasping tendencies in the contemporary art scene to better understand their positions as would-be artists.
트랜스아트특강 SPECIAL TOPIC OF TRANS ART (3(3))
With the definition of trans art, this is a course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this major involving practical training. This is a course to grasp and study a new trend in contemporary art.

논문대체

논문대체 NON-THESIS PROJECT (3(3))
This course is for master degree-seeking students who take an option of non-thesis. This option is to conduct assignments by the department which is one of the graduation requirements.  Once the academic assignments are approved by the committee, the credit will be accredited which is equivalent to three (3) hour credit course.
논문대체 NON-THESIS PROJECT (3(3))
This course is for master degree-seeking students who take an option of non-thesis. This option is to conduct assignments by the department which is one of the graduation requirements.  Once the academic assignments are approved by the committee, the credit will be accredited which is equivalent to three (3) hour credit course.